맨위로가기

랄프 다렌도르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랄프 다렌도르프는 독일 출신의 사회학자, 정치인, 작가로, 1929년에 태어나 2009년에 사망했다. 그는 사회 갈등 이론과 계급 이론을 발전시켰으며, 구조 기능주의와 마르크스주의를 비판적으로 통합하려는 시도를 했다. 다렌도르프는 정치 경력으로 독일과 유럽 연합에서 활동했으며, 영국에서 귀족 작위를 받았다. 주요 저서로는 《산업사회의 계급과 계급 갈등》이 있으며, 2019년부터 독일 연방교육연구부에서 그의 이름을 딴 상을 수여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옥스퍼드 대학교 세인트앤터니스 칼리지 교수 - 주제 하무스오르타
    주제 하무스오르타는 동티모르의 독립운동가이자 정치인으로, 독립혁명전선(FRETILIN) 발기인, 동티모르 민주 공화국 외무 장관, 유엔 주재 상임 대표, CNRM 결성, 노벨 평화상 공동 수상, 초대 외무 장관 및 총리를 역임하고 2007년과 2022년 동티모르 대통령으로 당선되었다.
  • 옥스퍼드 대학교 세인트앤터니스 칼리지 교수 - 타리크 라마단
    스위스 태생의 이집트계 무슬림 학자이자 철학자인 타리크 라마단은 현대 이슬람 연구 분야에서 활동하며 유럽 내 무슬림 사회 문제에 대한 정책 자문 및 네트워크 강화 활동을 펼쳤으나, 성폭력 혐의로 기소되어 논란이 되었고 스위스 항소 법원에서 강간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았다.
  • 독일의 유럽 연합 집행위원회 위원 - 마르틴 방게만
    마르틴 방게만은 독일 자유민주당 소속 정치인으로 독일 연방의회 의원, 유럽 의회 의원, 독일 연방 경제부 장관을 역임하고 유럽 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며 정보화 사회 구축에 기여했지만, 텔레포니카와의 유착 의혹으로 논란이 되기도 했다.
  • 독일의 유럽 연합 집행위원회 위원 - 발터 할슈타인
    발터 할슈타인은 독일의 법학자이자 외교관, 정치인으로, 유럽 경제 공동체의 초대 집행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하며 유럽 통합에 기여했고, 서독 외무부 차관으로서 할슈타인 독트린을 발표하여 냉전 시대 서독 외교 정책을 주도했다.
  • 독일에서 잉글랜드로 이민간 사람 - 카를 마르크스
    카를 마르크스는 독일의 철학자, 경제학자, 사회학자, 역사가, 언론인, 혁명가이자 공산주의 사상 창시자 중 한 명으로, 『공산당 선언』과 『자본론』 등을 통해 역사적 유물론, 계급 투쟁, 자본주의 비판 이론을 체계화하여 사회주의 운동과 현대 사회 사상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독일에서 잉글랜드로 이민간 사람 -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헨델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헨델은 바로크 시대의 중요한 작곡가로, 다양한 장르에서 뛰어난 작품을 남겼으며 독일에서 태어나 영국에서 활동하며 오페라와 오라토리오 작곡가로서 성공을 거두었고, 그의 음악은 독창적인 스타일과 극적인 표현력으로 현재까지도 사랑받고 있다.
랄프 다렌도르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980년의 다렌도르프
존칭 접두사각하
이름더 로드 다렌도르프
출생 이름랄프 구스타프 다렌도르프
출생일1929년 5월 1일
출생지함부르크, 바이마르 공화국
사망일2009년 6월 17일
사망지쾰른, 독일
국적영국, 독일
정당자유민주당 (영국), FDP (독일)
배우자베라 다렌도르프 (결혼 전 성은 베라 배니스터), 엘렌 다렌도르프 (결혼 전 성은 엘렌 조앤 크루그) (1980–2004), 크리스티아네 다렌도르프 (결혼 전 성은 크리스티아네 클레브스) (2004–2009)
친척프랑크 다렌도르프 (형제)
자녀니콜라, 알렉산드라, 다프네 다렌도르프
모교함부르크 대학교, 런던 정경대학교
전문 분야사회학자
안장 장소올스도르프 공동묘지 올스도르프, 함부르크-노르트, 함부르크, 독일
부모리나 다렌도르프 (어머니), 구스타프 다렌도르프 (아버지)
수상1975: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 회원 선출, 1977: 배스 대학교에서 명예 과학 박사 학위 수여., 1977: 미국 철학회 회원 선출, 1977: 미국 국립 과학 아카데미 회원 선출, 1982: 대영 제국 훈장 2등급 기사, 1989: 독일 연방 공화국 공로 훈장 대십자성장과 어깨띠, 1993: 세습 작위(다렌도르프 남작), 1997: 테오도르 호이스 상, 1999: 바덴뷔르템베르크 공로 훈장, 1999: 함부르크 대학교 명예 상원의원, 2002: 이탈리아 공화국 공로 훈장 대십자 기사, 2003: 푸르 르 메리트 훈장
직위
상원의원
세속 귀족
시작: 1993년 7월 15일
종료: 2009년 6월 17일
종신 귀족 작위
유럽 위원 연구, 과학 및 교육 담당위원장: 프랑수아자비에 오르톨리
시작: 1973년 1월 6일
종료: 1977년 1월 5일
전임: 프리츠 헬비히
후임: 귀도 브루너
유럽 위원 무역 담당위원장: 시코 만숄트, 프랑코 마리아 말파티
시작: 1970년 7월 1일
종료: 1973년 1월 5일
전임: 장프랑수아 드니아
후임: 크리스토퍼 소임스
외무부 의회 국무차관수상: 빌리 브란트
시작: 1969년 10월 22일
종료: 1970년 7월 2일
전임: 신규 임명
후임: 칼 모어슈
연방의회 의원시작: 1969년 9월 28일
종료: 1970년 7월 2일
선거구: FDP 명부
과학자 정보
연구 분야권위 관계에 기반한 계급 갈등에 대한 새로운 정의 제공
기타

2. 생애

2. 1. 가족 및 어린 시절

랄프 다렌도르프는 1929년 독일 함부르크에서 리나와 구스타프 다렌도르프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프랑크 다렌도르프의 형제였다.[1]

어린 시절, 랄프는 히틀러 유겐트의 최연소 조직인 독일 청소년단(Deutsches Jungvolk)의 일원이었다.[3] 랄프가 십 대였을 때, 그의 아버지( 독일 사회민주당(SPD) 소속의 국회의원)와 함께 반나치 활동으로 체포되어 나치 정권 시대에 강제 수용소로 보내졌다.[2] 그 활동 중 하나는 다렌도르프가 사람들에게 정권에 가담하지 말 것을 촉구하는 전단을 배포하는 것이었다.[2] 이후 그의 가족은 베를린으로 이주했다. 제2차 세계 대전의 마지막 해인 1944년, 그는 다시 반나치 활동으로 체포되어 폴란드의 강제 수용소로 보내졌다. 그는 1945년에 석방되었다.[4][5]

2. 2. 결혼

랄프 다렌도르프는 세 번 결혼했다.[9] 1954년 런던 정치경제대학교 동료 학생이었던 베라와 첫 번째 결혼을 했고, 니콜라, 알렉산드라, 다프네 세 딸을 낳았다.[6][7][8] 니콜라 다렌도르프는 유엔에서 일했고 영국 정부의 서아프리카 지역 분쟁 고문으로 일했다.

1980년부터 2004년까지는 역사가이자 번역가인 엘렌 다렌도르프와 결혼 생활을 했다. 엘렌 다렌도르프는 제임스 크루그 교수의 딸이며, 유대인으로서 유대 정책 연구소 이사회에서 활동했고, 신 이스라엘 기금 영국 지부 의장을 역임했으며, 팔레스타인에 대한 이스라엘 정책을 비판하는 독립 유대인 목소리 선언문에 서명했다.

처음 두 번의 결혼은 이혼으로 끝났고, 2004년 쾰른 출신 의사인 크리스티아네 다렌도르프와 세 번째 결혼을 했다.[9]

2. 3. 학력 및 학문적 경력

랄프 다렌도르프는 1947년부터 1952년까지 함부르크 대학교에서 철학, 고전어학, 사회학을 공부했다.[10] 1953년부터 1954년까지 런던 정경대학교(London School of Economics)에서 칼 포퍼의 지도 아래 1956년 사회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10] 초기에는 마르크스주의 이론에 관심을 갖고 칼 마르크스의 정의론에 관한 박사 논문을 썼다.[10]

박사 학위 취득 후 독일로 돌아와 함부르크 대학교(1957~1960), 튀빙겐 대학교(1960~1964), 콘스탄츠 대학교(1966~1969)에서 사회학 교수를 역임했다.[1] 1964년에는 콘스탄츠 대학교 설립에 참여했다.[11] 1960년에는 뉴욕 컬럼비아 대학교 방문 사회학 교수를 지냈다.[13]

1974년부터 1984년까지 런던 정경대학교 학장을 역임했고, 1984년부터 1986년까지 콘스탄츠 대학교 사회과학 교수로 재직했다. 1986년 런던 정경대학교 총장이 되었고, 1987년부터 1997년까지 옥스퍼드 대학교 세인트앤토니스 칼리지 학장을 역임했다.[1]

2. 4. 정치 경력

랄프 다렌도르프는 1967년부터 1970년까지 독일 사회학 협회(Deutsche Gesellschaft für Soziologie) 회장을 역임했다.[14] 1968년부터 1969년까지 바덴뷔르템베르크 주의회(Landtag of Baden-Württemberg) 의원으로 활동했고,[13] 1969년에는 자유민주당(Free Democratic Party) 소속으로 독일 연방의회(Bundestag) 의원이 되어 외무부 국무 의회 비서관을 역임했다.[13] 1970년에는 유럽 집행위원회(European Commission) 위원이 되어 외무, 교육, 과학 등을 담당하며 인권과 자유의 보장에 힘썼다.[13]

1988년에는 영국 시민권을 취득하고, [13] 1993년에는 종신 귀족(Life Peer)인 '''다렌도르프 남작'''(Baron Dahrendorf) 작위를 받아 웨스트민스터 시(City of Westminster) 클레어 마켓(Clare Market)을 영지로 하는 무소속 의원(cross-bencher)으로 상원(House of Lords)에 참여했다.[15] 그는 법 앞의 평등표현의 자유를 포함한 기본적인 시민적 및 정치적 권리의 헌법적 보장을 주장했다.[13]

나치 정권 시절에는 반국가 활동으로 인해 정치범 강제수용소에 수감된 경험이 있으며, [45] 이러한 경험은 그가 정치 세계와 깊이 관련을 갖게 된 계기가 되었다. 독일에서는 자유민주당 의원으로 활동하며 서독 정부의 외무 정무차관을 역임했고, 유럽 공동체(EC) 및 유럽 연합 집행위원회(欧州委員会)에서 전문 위원으로 활동했다.[45]

2. 5. 수상 경력

랄프 다렌도르프는 1982년 대영 제국 훈장 KCMG 훈장을 서임받았고,[40] 1989년에는 지그문트 프로이트 상을 수상했다.[45] 1993년에는 종신 귀족 작위(Life Peer)로 다렌도르프 남작(Baron Dahrendorf)에 서임되었다.[45] 1997년 테오도르 호이스 상, 1999년 바덴뷔르템베르크 공로 훈장을 받았으며, 2002년에는 이탈리아 공화국 공로 훈장 대십자 훈장을 수훈했다. 2003년에는 푸르 르 메리트 훈장을 받았고, 2007년에는 아스투리아스 공주상 사회과학 부문을 수상했다.[45]

2. 6. 사망

랄프 다렌도르프는 2009년 6월 17일 독일 쾰른에서 암으로 80세의 나이로 사망했다.[2] 그는 세 번째 부인, 세 딸, 그리고 한 명의 손주를 남겼다.[4] 앙겔라 메르켈 총리는 "유럽은 가장 중요한 사상가이자 지식인 중 한 명을 잃었다"고 말했다.[2] 2009년 6월 17일, 악성 종양(암)으로 쾰른에서 사망했다.[45]

3. 주요 이론 및 개념

다렌도르프는 1950년대의 구조 기능주의 전통에서 가장 훌륭한 탈피 중 하나로 인정받고 있다. 다렌도르프는 구조 기능주의 학파의 "사회적 조화, 안정성 및 합의에 대한 허황되고 유토피아적인 묘사"에 비판적이었고 이에 도전하고자 했다.[37]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렌도르프는 정치적, 경제적 제도의 효능에 대한 일반적인 신념과 같이 구조 기능주의자들과 핵심적인 아이디어들을 공유한다. 베버처럼 다렌도르프는 노동 계급이 궁극적으로 숙련되지 않은 기계 조작원들의 동질적인 집단이 될 것이라는 마르크스의 견해를 비판한다. 다렌도르프는 후기 자본주의 사회에는 소득, 명성, 기술 수준 및 삶의 기회에 관한 정교한 차이점이 있다고 지적한다. 다렌도르프의 계급과 권력 구조에 대한 다원주의적 관점과 현대 사회에서 권위의 계층 구조가 불가피하다는 믿음은 또한 베버의 사상을 반영한다.[19] 다렌도르프는 마르크스를 걱정하게 만들었던 동일한 계급 이익을 인정하며, 갈등이 사회생활의 기본적인 사실이라는 데 동의했다. 또한, 다렌도르프는 계급 갈등이 진보적인 변화와 같은 사회에 유익한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고 믿었다.[19]

3. 1. 계급 및 계급 갈등 이론

랄프 다렌도르프는 1959년 그의 저서 《산업사회의 계급과 계급 갈등》(Class and Class Conflict in Industrial Society)에서 사회 불평등에 대한 자신의 이론을 제시했다.[19] 그는 구조 기능주의와 마르크스주의를 모두 비판하며, 두 이론 모두 사회 현실을 온전히 설명하지 못한다고 주장했다.[19][20] 특히 칼 마르크스가 계급을 경제적 요인(생산 수단 소유 여부)만으로 정의한 것은 현대 사회에 부적합하다고 비판했다.[19]

다렌도르프는 마르크스주의와 구조 기능주의의 측면을 결합하여, 권위(Authority)의 개념을 도입했다. 그는 권위의 불평등한 분배가 계급 갈등의 핵심 요인이라고 보았다.[23] 그는 권위를 지배의 일반적 형태로 보았고, 권위의 수준으로 계급을 정의했다.[25][23] 다렌도르프는 사회 체계에 대한 구조 기능주의자들의 생각이 유토피아적이라고 비판하며,[22] 민주주의의 등장, 정당 투표, 사회적 이동성의 증가로 인해 권위를 위한 투쟁이 갈등을 야기한다고 보았다.[23]

다렌도르프는 후기 자본주의 사회에서 계급 갈등이 노동조합, 단체 협약, 사법 시스템 등을 통해 제도화된 형태로 나타난다고 분석했다.[19] 그는 후기 자본주의 사회가 계급 갈등을 제도화하여 마르크스 시대의 격렬한 계급 투쟁은 더 이상 관련이 없다고 보았다.[19]

그는 사회를 "명령 계급(command class)"과 "복종 계급(obey class)"으로 구분했다.[32] 명령 계급은 권위를 행사하고, 복종 계급은 권위가 없으며 다른 사람들에게 종속된다.[32] 이러한 계급 구분은 권위에 기반하며, 사회 조직의 한 측면이자 사회 구조의 공통 요소로 정의된다.[33]

다렌도르프는 갈등 이론이 합의 이론과 함께 사회를 반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갈등이 사회 구조의 변화와 발전을 가져온다고 믿었으며,[34] 이는 유토피아 개념을 지지한 마르크스와 구별되는 점이다.[1] 다렌도르프는 갈등과 합의가 상호 전제 조건이라고 보았다.[29][28]

다렌도르프의 이론은 막스 베버의 사상과도 연결된다. 그는 노동 계급이 동질적인 집단이 될 것이라는 마르크스의 견해를 비판하며, 후기 자본주의 사회의 소득, 명성, 기술 수준 등의 차이를 지적했다. 또한 권위의 계층 구조가 불가피하다는 베버의 믿음을 반영했다.[19]

3. 2. 갈등 이론

랄프 다렌도르프는 구조 기능주의와 마르크스주의를 통합하여 갈등 이론을 제시했다.[25] 그는 구조 기능주의가 사회의 합의를 설명하는 데 유용하지만, 갈등 이론은 강제와 갈등을 이해하는 데 필요하다고 보았다.[26][27] 다렌도르프는 후기 자본주의 사회에서 계급 갈등이 제도화되어 노동 조합, 단체 협상, 사법 시스템 등을 통해 나타난다고 주장하며, 과거의 격렬한 계급 투쟁은 더 이상 관련이 없다고 보았다.[19]

다렌도르프는 사회 시스템 내에 불화와 갈등이 항상 존재하며, 사회 질서는 권력에 의해 유지된다고 주장했다.[27][28] 그는 사회를 완전히 반영하기 위해서는 합의 이론과 갈등 이론이 모두 필요하며, 이 둘은 상호 전제 조건이라고 보았다.[29] 즉, 갈등은 합의를 낳을 수 있고, 합의는 다시 갈등을 유발할 수 있다는 것이다.[28][29] 다렌도르프는 "권위의 차별적 분배가 항상 체계적인 사회 갈등의 결정 요인이 된다"고 주장했다.[28]

다렌도르프의 이론은 칼 마르크스가 주목했던 계급 이익을 인정하며, 갈등이 사회에 유익한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고 보았다.[19] 그는 구조 기능주의의 사회적 조화와 안정성에 대한 관점에 비판적이었으며, 막스 베버처럼 노동 계급의 동질화에 대한 마르크스의 견해를 비판하고, 후기 자본주의 사회의 다양한 차이점을 지적했다.[37][19]

3. 3. 호모 소시오로기쿠스(Homo Sociologicus)

3. 4. 자유주의 질서 (The Liberal Order)

다렌도르프는 자유 시장 사회가 갈등에 취약하다는 점을 인정하면서도, 동시에 그러한 사회가 갈등을 처리하는 데 가장 적합한 위치에 있다고 주장했다. 긴장은 억압되는 대신 사회가 발전하는 데 도움이 되는 요소가 된다. 긴장과 갈등을 해결책으로 전환하는 것은 정부의 역할이다. 따라서 평화로운 해결을 위해서는 갈등 관리가 필요하다.[30] 다렌도르프는 현대 사회의 갈등이 단순히 상이한 개인의 이해관계와 기대만으로 비롯되는 것이 아니라고 보았다. 그는 갈등이 현대 사회가 정의, 자유, 경제적 안녕과 같은 상반되는 가치들 사이, 그리고 경제적 효율성, 정체성, 안보 사이에서 협상하고 균형을 맞춰야 하는 불가피한 긴장을 극복하는 과정에서 발생한다고 보았다. 그는 사회가 어떻게 정의롭고 번영하는 국가로 발전할 수 있는지 이해하고자 했다.[30] 다렌도르프의 자유 질서의 미래에 대한 아이디어의 본질은 다양한 수준에서 존재하는 잠재적 및 현저한 긴장, 갈등의 잠재력, 그리고 갈등 해결을 위한 해결책과 선택지를 파악하는 데 있다.

4. 저서


  • Class and Class Conflict in Industrial Society영어, 1959년
  • Essays in the Theory of Society영어, 1968년
  • Society and Democracy in Germany영어, 1967년
  • The Modern Social Conflict영어, 1988년
  • https://www.bbc.co.uk/programmes/p00h3x3t The New Liberty, 1974년 BBC 라디오 라이스 강좌
  • The Crisis of Democracy, Remarks on the Report on the Governability of Democracies by the Trilateral Commission, Excerpt from a Study on Governability by Ralf Dahrendorf영어, 1975년
  • Reflections on the Revolution in Europe: In a letter intended to have been sent to a gentleman in Warsaw영어, 1990년
  • Life chances: Approaches to Social and Political Theory영어, 1979년
  • Classes et conflits de classes dans la société industrielle프랑스어, 1972년
  • Gesellschaft und Freiheit: Zur soziologischen Analyse der Gegenwartde, 1961년
  • Angewandte Aufklärung: Gesellschaft und Soziologie in Amerikade, 1962년
  • Homo Sociologicus: Ein Versuch zur Geschichte, Bedeutung und Kritik der Kategorie der sozialen Rollede, 1965년
  • Gesellschaft und Demokratie in Deutschlandde, 1965년
  • Konflikt und Freiheit: Auf dem Weg zur Dienstklassengesellschaftde, 1972년
  • Pfade aus Utopia: Arbeiten zur Theorie und Methode der Soziologiede, 1974년
  • Lebenschancen: Anläufe zur sozialen und politischen Theoriede, 1979년
  • Die Neue Freiheit: Überleben und Gerechtigkeit in einer veränderten Weltde, 1980년
  • Die Chancen der Krise: Über die Zukunft des Liberalismusde, 1983년
  • Fragmente eines neuen Liberalismusde, 1987년
  • Der moderne soziale Konflikt: Essay zur Politik der Freiheitde, 1992년
  • Die Zukunft des Wohlfahrtsstaatsde, 1996년
  • Liberale und andere: Porträtsde, 1994년
  • Liberal und unabhängig: Gerd Bucerius und seine Zeitde, 2000년
  • Über Grenzen: Lebenserinnerungende, 2002년
  • Auf der Suche nach einer neuen Ordnung: Vorlesungen zur Politik der Freiheit im 21. Jahrhundertde, 2003년
  • Der Wiederbeginn der Geschichte: Vom Fall der Mauer zum Krieg im Irak; Reden und Aufsätzede, 2004년
  • Engagierte Beobachterde, 2005년
  • Versuchungen der Unfreiheit. Die Intellektuellen in Zeiten der Prüfungde, 2006년
  • 産業社会学일본어, 1961년
  • 産業社会における階級および階級闘争일본어, 1964년
  • ホモ・ソシオロジクス――役割と自由일본어, 1973년
  • ダ-レンドルフ社会理論論集(上) ユートピアからの脱出일본어, 1975년
  • ダ-レンドルフ社会理論論集(下) 価値と社会科学일본어, 1976년
  • ザ・ニュー・リバティー――ポスト「成長」の論理일본어, 1978년
  • ライフ・チャンス――「新しい自由主義」の政治社会学일본어, 1982년
  • ヨーロッパ経済の危機――曲り角に立つ成熟社会일본어, 1982년
  • なぜイギリスは「失敗」したか일본어, 1984년
  • 経営社会学일본어, 1985년
  • 新しい自由主義일본어, 1987년
  • 現代文明において「自由」とは何か일본어, 1988년
  • ヨーロッパ革命の考察――「社会主義」から「開かれた社会」へ일본어, 1991년
  • 激動するヨーロッパと世界新秩序일본어, 1992년
  • 政治・社会論集――重要論文選일본어, 1998년/2006년 증보판
  • 現代の社会紛争일본어, 2001년

5. 랄프 다렌도르프 상

독일 연방교육연구부(BMBF)는 2019년부터 특정 연구 프로젝트에 랄프 다렌도르프 상(Ralf Dahrendorf Prize)을 수여하고 있다.[38] 이 상은 EU 연구 프레임워크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뛰어난 성과를 거둔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2년마다 선정한다.[38][39] 수상 연구 프로젝트에는 5만 유로의 상금이 수여되어 연구를 지속하고 다양한 소통 방안을 모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39] 고급 과학자와 언론인으로 구성된 심사위원회가 프로젝트 자금 지원 대상을 결정한다.[39]

가장 최근 랄프 다렌도르프 상 수상작은 "전쟁으로 태어난 아이들(Children Born Of War)"이다.[38] 이 연구는 무력 충돌 중 또는 이후에 외국 군인과 현지 여성 사이에서 태어난 아이들의 삶을 다룬다.[38] 예를 들어, 제2차 세계 대전 중 및 이후 점령 기간에 독일과 오스트리아에서 태어난 아이들, 또는 보스니아 전쟁 중 강간으로 인해 태어난 아이들이 포함된다.[38]

6. 한국 사회에 대한 시사점

6. 1. 권위주의 청산과 민주주의 발전

6. 2. 사회경제적 불평등 완화

6. 3. 다양한 이해관계 조정

참조

[1] 서적 A Survey of Modern Social Theory Oxford University Press
[2] 뉴스 Ralph Dahrendorf, Sociologist, Dies at 80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09-06-22
[3] 서적 Five Germanys I have Known
[4] 뉴스 Ralph Dahrendorf, Sociologist, Dies at 80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09-06-22
[5] 뉴스 Lord Dahrendorf https://www.telegrap[...] The Daily Telegraph 2009-06-18
[6] 뉴스 A time to speak out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07-02-05
[7] 웹사이트 Behind the Headlines | Antisemitism http://www.jafi.org.[...]
[8] 웹사이트 Independent Jewish Voices http://www.ijv.org.u[...]
[9] 뉴스 Lord Dahrendorf, German sociologist and politician who became director of the LSE and a life peer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10] 논문 Ralf Dahrendorf on citizenship and life chances 2010-04-26
[11] 웹사이트 50 years of university history {{!}} 50 years University of Konstanz {{!}} Profile {{!}} About the University of Konstanz {{!}} University {{!}} University of Konstanz https://www.uni-kons[...]
[12] 서적 Contemporary Social and Sociological Theory: Visualizing Social Worlds https://archive.org/[...] Pine Forge Press
[13] 뉴스 Lord Dahrendorf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09-06-18
[14] 웹사이트 Emerald: Article Requests: Indefinite articles http://www.emeraldin[...] Emerald Group Publishing
[15] 간행물 London Gazette 1993-07-20
[16] 웹사이트 The FIRST International Award for Responsible Capitalism http://www.firstmaga[...]
[17] 웹사이트 WZB website http://www.wzb.eu/ba[...]
[18] 웹사이트 German sociologist Ralf Dahrendorf dies | DW | 18.06.2009 http://www.dw-world.[...]
[19] 서적 Theories of Social Inequality Harcourt Brace & Company
[20] 서적 Class and Class Conflict in Industrial Society Stanford University
[21] 웹사이트 Understanding Conflict and War: Vol. 3: Conflict In Perspective https://www.hawaii.e[...] SAGE Publications 1977
[22] 서적 Understanding Society: A Survey of Modern Social Theory Oxford University Press
[23] 서적 A Survey of Modern Social Theory Oxford University Press
[24] 서적 Understanding Society: A Survey of Modern Social Theory Oxford University Press
[25] 서적 Dictionary of Cultural Theorist Oxford University Press
[26] 서적 Sociological Theory McGraw-Hill 2010-05-19
[27] 서적 Sociological Theory https://archive.org/[...] McGraw-Hill
[28] 서적 Sociological Theory https://archive.org/[...] McGraw-Hill
[29] 서적 Sociological theory McGraw-Hill 2010
[30] 서적 LSE: A History of the London School of Economics and Political Science, 1895-1995 Oxford University Press
[31] 서적 Sociological Theory https://archive.org/[...] McGraw-Hill
[32] 논문 Class as Conceived by Marx and Dahrendorf: Effects on Income Inequality and Politics in the United States and Great Britain
[33] 서적 Contemporary Socialand Sociological Theory Pine Forge Press
[34] 서적 Sociological Theory https://archive.org/[...] McGraw-Hill
[35] 서적 Marxism and class theory : a bourgeois critique https://www.worldcat[...] 1979
[36] 논문 Ralf Dahrendorf on citizenship and life chances 2010-04-26
[37] 서적 Theories of Social Inequality Holt, Rinehart, and Winston of Canada 1984
[38] 웹사이트 Birmingham researcher wins prestigious Ralf Dahrendorf Prize for Children Born of War project https://www.birmingh[...] 2021-11-01
[39] 간행물 Co-creation Techniques and Tools for Sustainable and Inclusive Planning at Neighbourhood Level. Experience from Four European Research and Innovation Projects http://dx.doi.org/10[...]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2021-11-01
[40] 웹사이트 Ralf Gustav Dahrendorf https://www.amacad.o[...] 2022-07-18
[41] 웹사이트 Corporate Information http://www.bath.ac.u[...]
[42] 웹사이트 APS Member History https://search.amphi[...] 2022-07-18
[43] 웹사이트 Ralf Dahrendorf http://www.nasonline[...] 2022-07-18
[44] 뉴스 Ralf Dahrendorf, Sociologist, Dies at 80 https://www.nytimes.[...] 2022-02-22
[45] 뉴스 Ralf Dahrendorf gestorben http://www.nzz.ch/na[...] NZZ Onlin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